Transition Town Namdong

기후위기와 생태위기에 대응하고 마을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전환마을남동을 시작합니다.

최근 글

[전환마을인천 활동사례집] 찾고 움직이고 엮고 전환하는 재미 - 활동가 인터뷰

전환마을인천 활동사례집찾고 움직이고 엮고 전환하는 재미 지난 2023년부터 시작한 전환마을남동의 활동사례들을 정리했습니다. 연수구사례도 있으니 활동사례집을 통해 전환을 시작하려는 그룹이 있다면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PDF로 다운받기 - 전환마을인천 활동사례집  미리보기  자료집 내용중. 전환마을남동 활동가 인터뷰 기사를 소개합니다.인터뷰 | 전환마을남동 활동가  전환마을남동 김보혜, 전강희 활동가 전환마을남동은 느슨한 만남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의 자발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운영되었다. 전환마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과 만남을 가지면서, 참가자와 단체 활동을 소개했다. 만수동 공동체 텃밭에서 함께 하는 축하의 자리로 시농제, 감자축제, 고구마 축제를 도시농업네트워크와 전환마을남동이 함께 채워갔고, 전환..

전환마을이란? 2025.02.26 0

전환마을 운동과 한국 사례

전환마을 운동은 기후 변화, 자원 고갈, 사회적 불평등 등 글로벌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공동체가 주도하는 지속 가능한 변화 운동입니다. 이 운동의 핵심은 지역의 회복력(resilience) 강화, 탄소 배출 감소, 그리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생태적·경제적 자립을 실현하는 데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전환마을 운동의 기원, 원칙, 주요 사례, 한국 적용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 **1. 전환마을 운동의 기원과 배경**- **시작**: 2005년 아일랜드 킨세일(Kinsale)에서 퍼머컬처(permaculture) 강사 롭 홉킨스(Rob Hopkins)와 그의 학생들이 석유 고갈(피크오일)과 기후 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 계획을 수립하며 시작되었습니다.- **확산**:..

전환마을이란? 2025.02.08 0

전환마을활동가 워크샵 - 홍동마을 기행기 "더불어 사는, 생각하는 농민의 마을"

더불어 사는, 생각하는 농민의 마을김보혜 (전환마을남동 활동가) 바람과 눈보라가 거세게 불던 날, 오랫동안 마음에 두고 한 번은 꼭 방문하고 싶었던 홍성군 홍동면 홍동마을에 다녀왔다. 이번 기행은 2023-2024년 2년간 ‘전환마을’의 가치를 만들었던 인천 연수구와 남동구의 시민운동단체 활동가들과 함께 했다. 우리는 이번 기행을 통해 세대와 시대의 대안적 생활운동을 시작했던 홍동의 이야기를 들었다.홍동으로 가는 길에서 만난 세찬 겨울바람은 마을에 도착해서도 여전히 세차게 방문객을 맞이했다. 그러나 밤새 쌓인 눈은 뽀도록뽀도록 정겨운 소리를 내며 나의 마음을 기분 좋게 만들어주었고 하얗게 눈쌓인 미끄러운 시골길을 조심조심 걸으며 홍동마을 곳곳을 돌아보았다. 홍동의 마을 이야기내가 알고 있던 홍동마을은 풀..

활동소식 2025.01.23 0

새로운 글

more

[전환마을인천 활동사례집] 찾고 움직이고 엮고 전환하는 재미 - 활동가 인터뷰

전환마을인천 활동사례집찾고 움직이고 엮고 전환하는 재미 지난 2023년부터 시작한 전환마을남동의 활동사례들을 정리했습니다. 연수구사례도 있으니 활동사례집을 통해 전환을 시작하려는 그룹이 있다면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PDF로 다운받기 - 전환마을인천 활동사례집  미리보기  자료집 내용중. 전환마을남동 활동가 인터뷰 기사를 소개합니다.인터뷰 | 전환마을남동 활동가  전환마을남동 김보혜, 전강희 활동가 전환마을남동은 느슨한 만남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의 자발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운영되었다. 전환마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과 만남을 가지면서, 참가자와 단체 활동을 소개했다. 만수동 공동체 텃밭에서 함께 하는 축하의 자리로 시농제, 감자축제, 고구마 축제를 도시농업네트워크와 전환마을남동이 함께 채워갔고, 전환..

전환마을이란? 2025.02.26 0

전환마을 운동과 한국 사례

전환마을 운동은 기후 변화, 자원 고갈, 사회적 불평등 등 글로벌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공동체가 주도하는 지속 가능한 변화 운동입니다. 이 운동의 핵심은 지역의 회복력(resilience) 강화, 탄소 배출 감소, 그리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생태적·경제적 자립을 실현하는 데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전환마을 운동의 기원, 원칙, 주요 사례, 한국 적용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 **1. 전환마을 운동의 기원과 배경**- **시작**: 2005년 아일랜드 킨세일(Kinsale)에서 퍼머컬처(permaculture) 강사 롭 홉킨스(Rob Hopkins)와 그의 학생들이 석유 고갈(피크오일)과 기후 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 계획을 수립하며 시작되었습니다.- **확산**:..

전환마을이란? 2025.02.08 0

전환마을활동가 워크샵 - 홍동마을 기행기 "더불어 사는, 생각하는 농민의 마을"

더불어 사는, 생각하는 농민의 마을김보혜 (전환마을남동 활동가) 바람과 눈보라가 거세게 불던 날, 오랫동안 마음에 두고 한 번은 꼭 방문하고 싶었던 홍성군 홍동면 홍동마을에 다녀왔다. 이번 기행은 2023-2024년 2년간 ‘전환마을’의 가치를 만들었던 인천 연수구와 남동구의 시민운동단체 활동가들과 함께 했다. 우리는 이번 기행을 통해 세대와 시대의 대안적 생활운동을 시작했던 홍동의 이야기를 들었다.홍동으로 가는 길에서 만난 세찬 겨울바람은 마을에 도착해서도 여전히 세차게 방문객을 맞이했다. 그러나 밤새 쌓인 눈은 뽀도록뽀도록 정겨운 소리를 내며 나의 마음을 기분 좋게 만들어주었고 하얗게 눈쌓인 미끄러운 시골길을 조심조심 걸으며 홍동마을 곳곳을 돌아보았다. 홍동의 마을 이야기내가 알고 있던 홍동마을은 풀..

활동소식 2025.01.23 0

2024년 "남동에서 있었던 전환활동" 네트워크 데이가 열렸습니다.

2024년 12월 10일 전환마을남동 네트워크 데이가 열렸습니다. 남동구에 있는 전환마을 활동을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면서 서로가 이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보자는 취지입니다. (https://transition-nd.tistory.com/30)  전환마을남동은 3월 전환마을선언식을 갖고 하반기 전환마을학교를 운영했습니다. 그리고 올해 마지막 행사로 네트워크데이를 가졌습니다. 이날행사는 지난 전환마을남동활동을 공유하는 것을 시작으로 13개의 발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발표가 끝나고 서로에게 관심을 표하는 간단한 소통을 한 후, 저나마 조금씩 가져오실 수 있는 음식을 준비물로 해서 함께 나누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아메바(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가 먼저 인사를 하고 지난 전환마을남동 활..

활동소식 2024.12.24 0

전환마을남동 네트워크 데이(Network Day)에 참여하세요.

2024 전환마을남동 네트워크 데이 : “우리 함께, 남동의 전환을 만들어요!” 언제? 2024년 12월 10일(화) 오후7시어디서?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남동구 성리로35번길 20-1, 3층) 무슨 일이 있나요?남동구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분들과 함께 2024년의 활동을 돌아보고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져요.전환 활동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누구든지 환영합니다!함께 모여 더 큰 변화를 만들어갈 네트워크를 만들어봐요. 시간표는 어떻게 되나요?시간구 분내 용18:30~19:00어서오세요!자유롭게 인사나누고 준비하기19:00~19:152024년 우리의 발자취네트워크 데이 개회2024년 전환마을남동 활동보기19:15~20:30전환활동 이야기  in 남동다양한 활동들을 짧고 굵게! 5분씩 이그나이트 형식..

남동 전환마을학교 6강 - 전환마을 지도 그리기 그리고 수료식

남동 전환마을학교가 마지막 6회차를 끝으로 오늘 마지막 수료식을 했습니다. 마지막 내용은 '전환마을 지도 그리기'라는 주제로 간단한 발화를 김진덕 교장선생님이 해주시고, 이어서 토론을 1시간이 좀 넘도록 했습니다. 그동안 전환마을학교에서 이야기하고 다뤄왔던 다양한 주제들을 포함해서 앞으로 전환마을로 향하는 데 필요한 안내를 위해 지도를 그려보는 시간이었고, 첫날 비슷한 내용의 토론이 있었지만, 마지막 토론은 더 풍부한 이야기가 나온 것 같습니다.  각자의 명함만들기에 이어진 토론에서는 다양하게 알고 있는 사례에 비추어 앞으로 전환마을이라는게 어떻게 해나갈 수 있는 것인지 모색하며 이야기나누기를 했습니다. 역시나 어려운 일이지만 그래도 각자 할 수 있고 내놓을 수 있는 다양한 역량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에..

활동소식 2024.10.02 3

남동 전환마을학교 5강 - 시민자산화 마을공유공간, 연수구 사례, 공동체 공유공간 이야기

남동 전환마을학교 5강은 공유자원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시간이었습니다.실제 우리 주변에서 생생한 사례를 듣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이웃 연수구의 마을공동체활동과 최근 7개 단체가 함께모여 건물 하나에서 모여살게 된 이야기, 그리고 그 공간을 바탕으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들어봤습니다. 달팽이(안미숙) 활동가가 90년대 마을운동의 시작부터 짚어주는 이야기를 통해 마을공동체활동을 조금이나마 맥락을 알게 할 수 있었던 계기도 되었습니다. 작은도서관에서 시작한 경험을 바탕으로 오늘 이야기를 시작하는 이야기책을 먼저 소개해주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누군가의 수고들이 모여 일들이 진행된다는 의미도 있으면서, 어떤 일들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그전에 있었던 많은 것들이 바탕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모두가 이렇게..

활동소식 2024.10.01 1

남동 전환마을학교 4강 - 한 번 쓰고 버리기에는 너무 소중한 것들 (쓰레기 없이 살기는 가능할까?)

남동전환마을학교 4강은 쓰레기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몇년째 제로웨이스트 샵 소중한모든것을 운영하고 있는 이번 강의를 맡은 소정(짜이) 대표는 쓰레기 문제에 대해 인식을 하면서 제로웨이스트 활동가로 일하고 있습니다. 문제인식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무관심이 쓰레기산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죠. 한번도 일상에서는 생각해보지 않는 우리가 배출한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될까? 라는 궁금증과 관심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들은 소중한모든것 컵둥지 매장에 방문하시면 언제든지 설명도 듣고, 매달 진행하는 무포장보고가장(매월 3째주 토요일)에 참여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가까운 곳에 운영하는 제로웨이스트샵이 있는지 찾아보고, 어떻게 하면 일회용품을 쓰지 않을지? 필요없는 것을 (쓰레기가 될 것을) 가지려고 하..

활동소식 2024.09.25 0